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Tags
- 코딩테스트
- HTML
- 리액트오류
- webdevcurriculum
- 자바스크립트
- javascript
- js
- 도커
- gitrevert
- 깃버전
- 패스트캠퍼스
- nextjs
- 국비지원취업
- 깃
- gitcommit
- 프로그래머스
- typescript
- gitignore
- 깃커밋
- 프론트엔드개발자
- react
- ReactError
- 파이어베이스
- Git
- github
- Firebase
- 클론코딩
- 깃허브
- API
- 리액트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gitpreferences (1)
Project.log
깃 환경 설정하기
깃을 사용하기 전에 먼저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해야 합니다. 깃은 버전을 저장할 때마다 그 버전을 만든 사용자 정보도 함께 저장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하여 어떤 버전을 누가 언제 만들었는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깃에서 사용자 정보를 설정하려면 git config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여기에 --global 옵션을 추가하면 현재 컴퓨터에 있는 모든 저장소에서 같은 사용자 정보를 사용하도록 설정합니다. $ git config --global user.name "Leejinuk"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leejin7900@gmail.com"
GIT
2022. 8. 22. 1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