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HTML
- 도커
- Firebase
- nextjs
- react
- API
- 프로그래머스
- 파이어베이스
- webdevcurriculum
- 깃허브
- ReactError
- 코딩테스트
- gitcommit
- 리액트오류
- 클론코딩
- js
- 깃버전
- gitignore
- github
- 리액트
- javascript
- 프론트엔드개발자
- Git
- 깃
- 국비지원취업
- typescript
- gitrevert
- 자바스크립트
- 패스트캠퍼스
- 깃커밋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64)
Project.log

Knowre-Dev의 WebDevCurriculum의 레포지토리를 Fork하여 퀘스트를 해결해 나가는 글입니다. Introduction 이번 퀘스트에서는 바닐라 자바스크립트의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을 조금 더 훈련해 보겠습니다. Checklist 인터넷은 어떻게 동작하나요? Internet Protocol Suite의 레이어 모델에 입각하여 설명해 보세요. 인터넷은 컴퓨터 네트워크들의 모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네트워크들은 서로 다른 기술과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연결은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Internet Protocol Suite)라고 불리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집합을 사용하여 관리됩니다.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는 일반적으로 OSI 모델이라고 불리는 레이어 모델을 기반으..

Knowre-Dev의 WebDevCurriculum의 레포지토리를 Fork하여 퀘스트를 해결해 나가는 글입니다. Introduction 이번 퀘스트에서는 바닐라 자바스크립트의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을 조금 더 훈련해 보겠습니다. Checklist 관심사의 분리 원칙이란 무엇인가요? 웹에서는 이러한 원칙이 어떻게 적용되나요? 관심사의 분리(Separation of Concerns) 원칙은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시스템을 작은 단위로 분할하여 각 단위가 서로 다른 관심사를 처리하도록 하는 디자인 원칙입니다. 각 단위는 다른 단위와 독립적으로 존재하며, 변경이 발생할 때 다른 단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구현됩니다. 예를 들어, 웹 개발에서는 프론트엔드와 백엔드를 분리함으로써 관심사의 분리 원칙을..

Knowre-Dev의 WebDevCurriculum의 레포지토리를 Fork하여 퀘스트를 해결해 나가는 글입니다. Introduction 이번 퀘스트에서는 바닐라 자바스크립트의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 대해 알아볼 예정입니다. Checklist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은 무엇일까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bject-Oriented Programming, OOP)은 컴퓨터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중 하나로, 객체(Object)를 중심으로 프로그래밍 하는 방법입니다. 객체란 데이터와 이를 처리하는 코드(메소드)를 하나의 단위로 묶은 것으로, 프로그램에서 필요한 여러 가지 객체를 정의하고 이들이 상호작용하도록 하는 것이 OOP의 주요한 목적입니다. OOP에서 객체는 클래스(Class)를 기반으로 생성됩니다. 클래스는 객체의..

HTML의 meta 요소는 웹 페이지의 메타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메타 데이터는 브라우저, 검색 엔진 및 소셜 미디어 등에서 사용됩니다. 아래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meta 태그의 예시입니다. charset : 문서의 문자 집합을 정의합니다. name과 content: 문서의 일부 정보를 정의합니다. name은 정보의 유형을 지정하고, content는 실제 정보를 포함합니다. http-equiv: HTTP 헤더를 정의합니다. property와 content: Open Graph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소셜 미디어에서 페이지를 공유할 때 사용되는 정보를 정의합니다. 이 외에도 name, content, http-equiv, charset, scheme 등 다양한 속성이 있습니다. 페이지에서 필..

Knowre-Dev의 WebDevCurriculum의 레포지토리를 Fork하여 퀘스트를 해결해 나가는 글입니다. Introduction 자바스크립트는 현재 웹 생태계의 근간인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이번 퀘스트에서는 자바스크립트의 기본적인 문법과, 자바스크립트를 통해 브라우저의 실제 DOM 노드를 조작하는 법에 대하여 알아볼 예정입니다. Checklist 자바스크립트는 버전별로 어떻게 변화하고 발전해 왔을까요? 자바스크립트는 초기 버전부터 지금까지 지속적으로 발전해 왔습니다. 이전 버전들은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고 기존 기능들이 개선되면서 현재의 모습으로 이어졌습니다. 1995년에 최초로 발표된 자바스크립트는 브라우저에서 동적으로 웹 페이지를 제어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그러나 초기 버전은 기능이 제한되어..

Knowre-Dev의 WebDevCurriculum의 레포지토리를 Fork하여 퀘스트를 해결해 나가는 글입니다. Introduction CSS는 Cascading StyleSheet의 약자입니다. 웹브라우저에 표시되는 HTML 문서의 스타일을 지정하는 (거의) 유일하지만 다루기 쉽지 않은 언어입니다. 이번 퀘스트를 통해 CSS의 기초적인 레이아웃 작성법을 알아볼 예정입니다. Checklist CSS를 HTML에 적용하는 세 가지 방법은 무엇일까요? 내부스타일 시트를 이용하는 방법과 외부스타일 시트이용 그리고 인라인스타일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먼저 내부스타일 시트는 HTML 문서의 Hello, world! This is html5 p tag 다음으로 외부스타일 시트는 HTML 문서와 별도로 CSS 파..

Knowre-Dev의 WebDevCurriculum의 레포지토리를 Fork하여 퀘스트를 해결해 나가는 글입니다. Introduction HTML은 HyperText Markup Language의 약자로, 웹 브라우저에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언어입니다. 이번 퀘스트를 통해 HTML에 관한 기초적인 사항들을 알아볼 예정입니다. Checklist HTML 표준의 역사는 어떻게 될까요? HTML은 1991년에 처음 등장하여, 그 후 많은 버전이 나왔습니다. HTML 버전의 발전은 다음과 같습니다. HTML 1.0 (1993년): HTML의 초기 버전으로, 기본적인 마크업 언어의 기능만을 제공합니다. HTML 2.0 (1995년): 몇 가지 추가적인 기능이 도입되었습니다. HTML 3.0 (1995..

Knowre-Dev의 WebDevCurriculum의 레포지토리를 Fork하여 퀘스트를 해결해 나가는 글입니다. Introduction git은 2021년 현재 개발 생태계에서 가장 각광받고 있는 버전 관리 시스템입니다. 이번 퀘스트를 통해 git의 기초적인 사용법을 알아볼 예정입니다. Checklist 형상관리 시스템은 왜 나오게 되었을까요? 형상관리의 단어가 생소해서 단어부터 찾아보았습니다. "소프트웨어 구성 관리 또는 형상 관리는 소프트웨어의 변경사항을 체계적으로 추적하고 통제하는 것으로, 형상 관리는 일반적인 단순 버전관리 기반의 소프트웨어 운용을 좀 더 포괄적인 학술 분야의 형태로 넓히는 근간을 이야기한다." 라고 되있습니다. 형상 관리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